전체 글(598)
-
[홈서버] Offsite Backup
1. Offisite Backup Offisite Backup은 장애나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로컬 스토리지에만 의존하면 화재, 침수, 하드웨어 고장 같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데이터 복구가 불가할 수 있다. 옛날에 조선왕조실록도 여러 지역에 외사고를 운영했던 것처럼 본진이 털릴 경우를 대비해서 별도의 물리적 공간이나 클라우드에 백업을 두는 게 좋다. https://cloud-pbs.com/ Proxmox VE를 사용하는 경우 S3 호환 스토리지, Cloud-PBS 같은 서비스를 고려할 수 있다. Cloud-PBS는 프랑스, 독일, 미국 등에서 호스팅 되는 원격으로 관리되는 PBS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Cloud-PBS는 관리가 편리한 만큼 요금이 비싸다.(25년 기준으로 단순 용량당 비..
2025.10.17 -
[홈서버] Proxmox VE 9.0 Update
1. Prerequisites Upgrade from 8 to 9 - Proxmox VEIntroduction Proxmox VE 9.x introduces several new major features. You should plan the upgrade carefully, make and verify backups before beginning, and test extensively. Depending on the existing configuration, several manual steps—including some downtimpve.proxmox.com Proxmox VE 9.0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전에 다음 사항을 반드시 충족해야 한다.모든 노드에서 Proxmox VE 8.4의 최신 버..
2025.10.01 -
[홈서버] PBS 4.0 Update
이제부터 PBS가 4.0 버전으로 업데이트되면서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다. 특히 공식적으로 S3 호환 객체 스토리지에 백업할 수 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Offsite Backup을 편하고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다. 이번에 업데이트하게 된 가장 큰 이유다. PBS는 우리의 지갑을 지키기 위해서 성능 향상 및 비용 절감을 위해 로컬 캐시를 활용하고 자주 사용되는 백업 메타데이터와 데이터 청크를 내부적으로 유지함으로써 S3 백엔드에 대한 API 호출을 최소화한다. 1. Prerequisites Upgrade from 3 to 4 - Proxmox Backup ServerIntroduction Proxmox Backup Server 4 is based on Debian 13 Trixie, a new majo..
2025.10.01 -
[AI] Github Copliot 워크플로우
1. 구조화된 바이브 코딩을 위한 3-file system 전략 성공적으로 ai agent를 다루기 위해서 3개의 파일을 활용한다.생성 규칙 파일: 에이전트가 PRD(Product Requirements Document)(제품 요구사항 명세서)를 작성하도록 안내한다.태스크 생성 규칙 파일: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중간 목표로서 세분화된 태스크 목록을 생성한다.: 체크박스로 진행사항 표시한다.태스크 실행 규칙 파일: 한 번에 하나의 태스크만 실행하도록 제한한다.: 태스크를 마무리한 후 개발자에게 검토받는다.: 승인 후 태스크에 완료 표시를 한다. GitHub - snarktank/ai-dev-tasks: A simple task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AI ..
2025.09.11 -
[AI] Github Copliot 설정
1. Github Copilot 인공지능의 발전이 너무 빠른 거 같다.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5배는 빠른 거 같다. 요즘 AI agent로 Claude code를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AI Agent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워크플로우가 변화하는 것 같다. 정말 눈부신 발전이다. Claude code는 언젠가 사용하게 될 것 같아서 유사한 다른 서비스부터 경험해 보기로 했다.(사실 지갑 사정도 한몫했다.) 우선적으로 gemini-cli, opencode-ai 등도 알아봤지만 아직 프로토타입이라는 느낌이 강해서 접었다. 작년에 부트캠프에서 프로젝트할 당시 잘 사용했던 Github Copilot을 결제해서 사용해보았다. 10 달러 결제해서 사용했다. 2. 지시사항이란? Quickstart for..
2025.09.11 -
[홈서버] 네트워크 3 - Zone-Based Firewall
1. 수정하는 이유 지난번에 구성한 네트워크 구조를 조금 손보려고 한다. 굳이 지금까지 문제없이 잘 쓰던 네트워크 구성을 손보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가. Default network를 비우고 싶다. Default Network는 초기 테스트나 임시 연결 용도로만 사용할 예정. 아무래도 시스템이 자동으로 생성한 기본 네트워크라 장치를 연결하고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에 적합하지 않아 보인다. 실제로 Unifi에서 VLAN을 격리시키는 옵션을 활성화해도 Default → 다른 모든 VLAN으로의 통신은 Drop 하지 않는다.(Default Network → 다른 VLAN으로의 통신을 따로 차단해야 할지 모르겠다.) 나. Zone-Based Firewall 얼마 전부터 Unifi에서 Zone-Based Fir..
2025.08.28 -
그동안 글을 쓰지 않은 이유
1. 무슨 일이 있었는가…. 너무 오랜만에 글을 써서 굉장히 어색하다. 3월부터 8월까지 대략 5개월간 글을 못 썼다. 작년 7월부터 오늘까지 많은 일이 있었다. 살면서 가장 힘든 시간들이었다. 말하기도 부끄럽지만 지인에게 ‘사기’를 당했다. 모아놓은 재산도 없어지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빚도 생겼다. 경제적으로도 어려웠지만 그것보다 정신적으로 너무 힘들었다. 몇 달간 거의 집에만 있었던 것 같다. 언제 끝날지, 어떻게 끝날지 알 수 없는 불확실성이 가장 견디기 힘들었다. 또 어떻게든 연락을 유지해야 했기 때문에 하루에 몇 십 번씩 전화하는 것도 힘들었다. 당연히 한번에 바로 통화 연결이 될 리 없기에 몇 시간씩 통화연결음만 듣기도 했다. 나중엔 통화연결음만 들어도 숨이 안 쉬어지고 심장이 아팠다. 그 와중..
2025.08.19 -
[Q&A] SpringBoot3 Test
이 글은 AI와의 질의응답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요약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1. WebMVCTest, SpringBootTest 차이점 Spring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애너테이션인 @AutoConfigureMockMvc, @WebMvcTest, @SpringBootTest는 각각 테스트의 범위, 속도, 의존성 주입 대상 등을 다르게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가. WebMvcTestController 레이어만 테스트할 때 사용.@Controller, @RestController, @ControllerAdvice 등 MVC 컴포넌트만 로딩.Repository, Service 등은 주입되지 않음. 필요시 @MockBean으로 mocking 필요.기본적으로 MockMvc를 자동 구성해 줌.가장 빠름. 최소한의 ..
2025.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