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12. 17:23ㆍBE/Linux
이 글은 이고잉님의 오픈튜토리얼 리눅스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Domain
영역, 범위 혹은 소유지라는 의미의 영어단어다.
컴퓨터와 관련된 도메인의 의미는 …
넓은 의미로는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호스트명을 가리킨다.
좁은 의미에서는 도메인 레지스트리에게서 등록된 이름을 의미한다.
이를 통틀어서 ‘웹 주소’라고 (잘못) 부르는 경우도 있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도메인_네임
domain name | ip addr |
https://www.naver.com/ | 223.130.195.95 |
https://www.google.com/ | 142.250.207.110 |
우리가 평소에 불규칙한 숫자를 암기하기 어려우니 도메인이란 영어 이름을 붙인 것이다.
특정 사이트의 ip주소 알아내는 법
nslookup naver.com
nslookup google.com
#혹은
host naver.com
host google.com
네이버의 경우 4개의 ip addr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구글은 142.250.207.110의 ip addr을 사용중인 것을 알 수 있다. |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bluesun226&logNo=145576342
Host file
도메인 서버가 없던 시절에는 도메인 네임에서 ip addr을 알아내기 위해서 host file이란 것을 사용했다.
호스트파일은 호스트 이름에 대응하는 IP 주소가 저장되어 있어서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에서 주소 정보를 제공받지 않고도 서버의 위치를 찾아준다.
즉 전화번호부 같은 것이다.
컴퓨터마다 호스트 파일을 저장해서 사용했는데 이는 /etc/host에 위치해 있다.
sudo vim /etc/host
##
# Host Database
#
# localhost is used to configure the loopback interface
# when the system is booting. Do not change this entry.
##
127.0.0.1 localhost
255.255.255.255 broadcasthost
::1 localhost
localhost라고 입력하면 127.0.0.1의 루프백 주소가 입력되는 이유다.
::1는 0:0:0:0:0:0:0:1을 약자로 ipv6에서 사용되는 루프백 주소다.
##
# Host Database
#
# localhost is used to configure the loopback interface
# when the system is booting. Do not change this entry.
##
127.0.0.1 localhost
255.255.255.255 broadcasthost
::1 localhost
127.0.0.1 google.com
google에 해당하는 ip주소를 127.0.01의 ip주소로 변경하고 웹브라우저에 google라고 입력하면 …
이렇게 된다.
도메인 서버보다 호스트 파일을 우선적으로 참고하는 듯하다.
호스트 파일에서 ip주소를 알아낼 수 없는 경우에 한해 DNS 서버에 요청을 보낸다.
출처 : https://goddaehee.tistory.com/90
DNS Server
cat /etc/resolv.conf
#
# macOS Notice
#
# This file is not consulted for DNS hostname resolution, address
# resolution, or the DNS query routing mechanism used by most
# processes on this system.
#
# To view the DNS configuration used by this system, use:
# scutil --dns
#
# SEE ALSO
# dns-sd(1), scutil(8)
#
# This file is automatically generated.
#
nameserver 168.126.63.1
nameserver 168.126.63.2
168.126.63.1과 2는 kt의 DNS Server 주소다.
즉 kt가 제공하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자동으로 nameserver에 kt DNS 서버의 ip 주소가 입력된다.
만약 우리가 도메인 네임을 입력했고 해당 도메인 네임이 호스트 파일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면 도메인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 네임에 맞는 ip 주소를 요청한다.
도메인 서버는 계층 구조를 띤다.
이 세상에는 너무나 많은 도메인 네임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선 계층구조를 통한 탐색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도메인 서버가 계층구조를 띄기에 도메인 네임도 계층구조를 띤다.
보통 우리가 접하는 도메인 네임의 경우…
- 일반 최상위 (ex : com, gov, mil, edu, org, net …)
- 소속기관 + 국가코드
소속기관 | 국가코드 |
co, go, hs, ms, es, or, ac, ne, pe …. | kr, jp, us, cn, uk, us, in, ca … |
그리고 도메인 네임을 가지기 위해서는 비용을 지불하고 구입해야 한다.
해당 도메인 네임을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권리를 구입하는 것이다.
인기 없는 도메인 네임의 경우 1년 정도의 기간 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도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검색해보자.
출처 : https://m.blog.naver.com/sgjjojo/221639621721
서브 도메인
서브 도메인에 대한 위키 : https://ko.wikipedia.org/wiki/서브도메인
예시를 들어 설명하면…
- https://ko.wikipedia.org/wiki/
- https://en.wikipedia.org/wiki/
이 예시의 경우 ko와 en이 서브 도메인에 해당한다.
In the Domain Name System (DNS) hierarchy, a subdomain is a domain that is a part of another (main) domain.[1] For example, if a domain offered an online store as part of their website example.com, it might use the subdomain shop.example.com .
도메인 네임의 확장적인 사용을 제공한다.
보통 구입한 도메인을 관리하는 곳에서 서브 도메인을 추가하고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Subdomain
trace 명령어
dig +trace [domain name]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도메인 네임에 맞는 ip주소를 반환하기 위해 거친 도메인 서버들의 리스트를 반환한다.
'B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7-13 ssh_key (0) | 2022.07.13 |
---|---|
2022-07-12 rsync (0) | 2022.07.12 |
2022-07-10 웹서버(apache)_2 (0) | 2022.07.10 |
2022-07-08 웹서버(apache)_1 (0) | 2022.07.08 |
2022-06-30 리눅스_네트워크 (0) | 202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