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18. 18:39ㆍFE/HTML
https://opentutorials.org/course/3084/18488
이 글은 이고잉님의 오픈튜토리얼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HTML을 의미에 맞게 사용한다는 것
중요하다.
검색 엔진은 웹 페이지에 담긴 html 코드를 분석한다.
태그에 근거해서 정리 정돈한다.
현대 사회에서 검색 엔진의 위상을 고려해 볼 html의 의미에 맞게 사용한다는 것은 비즈니스 측면에서 중요하다.
또 신체적 장애가 있는 분들이 사용하는 청각화 장비도 html을 고려해 작동한다.
그렇기에 누구나 자유롭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웹을 만들기 위해서 html을 의미에 맞게 사용하자.
이미지 넣기
img tag
<img>
이미지 태그의 기본형
<img src="이미지 주소" width="가로 넓이" alt="이미지가 없을 때 출력하는 메시지">
보통 많이 사용하는 속성(Attribute) 추가
무료로 쓸만한 이미지를 구할 수 있는 곳 : https://unsplash.com/
사용할 이미지 검색
선택하고 web 디렉터리로 다운로드한다.
원한는 위치에 <img src=”black_tea.jpeg” width=”100%”>
코드 추가.
이 경우는 소스 코드와 이미지 소스가 같은 디렉터리에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src
속성의 값으로 파일의 정확한 위치를 표시해야 한다.
이미지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리스트
List
<li>홍차</li>
<li>우롱차</li>
<li>녹차</li>
<li>다즐링</li>
<li>우바</li>
<li>기문</li>
li
: list의 약자
이러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
문제는 홍차, 우롱차, 녹차는 차의 종류에 속하고 다즐링, 우바, 기문은 홍차의 종류에 속하니 둘은 구분되어야 한다.
<li>홍차</li>
<li>우롱차</li>
<li>녹차</li><br>
<li>다즐링</li>
<li>우바</li>
<li>기문</li>
이런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겠지만 이건 시각적인 효과에 불과하다.
앞서 html을 의미에 맞게 사용하는 것은 중요하다 했다.
그렇기에 의미적으로 두 목록을 분리시켜 보자.
Unordered List
<ul>
<li>홍차</li>
<li>우롱차</li>
<li>녹차</li>
</ul>
ul
태그에 속하는 자식 li
태그들은 점으로 구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Ordered List
<ol>
<li>다즐링</li>
<li>우바</li>
<li>기문</li>
</ol>
ol
태그에 속하는 자식 li
태그들은 숫자로 구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ul
과 ol
에 속한 li
태그들은 이제 의미적으로도 분리되었다.
보통 li
은 ul
혹은 ol
과 같이 사용된다.
표 만들기
table tag
<table>
<tr>
<th>tag name</th>
<th>점유율</th>
</tr>
<tr>
<td>head</td>
<td>98.1%</td>
</tr>
<tr>
<td>body</td>
<td>97.9%</td>
</tr>
<tr>
<td>html</td>
<td>97.9%</td>
</tr>
</table>
tag name | 점유율 |
---|---|
head | 98.1% |
body | 97.9% |
html | 97.9% |
th
: table head의 약자.
tr
: table row의 약자.
td
: table data의 약자.
<table border="1">...</table>
tag name | 점유율 |
---|---|
head | 98.1% |
body | 97.9% |
html | 97.9% |
border
속성을 통해 테두리를 만들 수 있다.
colspan=”…”
,rowspan="..."
: 차지하는 자리 수.
<table border="1">
<tr>
<td rowspan="4">내용1</td>
<td>내용2</td>
<td>내용3</td>
</tr>
<tr>
<td colspan="2">내용2</td>
</tr>
<tr>
<td>내용2</td>
<td>내용3</td>
</tr>
<tr>
<td>내용2</td>
<td>내용3</td>
</tr>
</table>
내용1 | 내용2 | 내용3 |
내용2 | ||
내용2 | 내용3 | |
내용2 | 내용3 |
<table "border">
<caption>Caption</caption>
<thead>
<tr>
<th>제목</th>
<th>작성자</th>
<th>조회수</th>
</tr>
</thead>
<tbody>
<tr>
<td>title1</td>
<td>Kim</td>
<td>100</td>
</tr>
<tr>
<td>title2</td>
<td>Lee</td>
<td>200</td>
</tr>
<tr>
<td>title3</td>
<td>Park</td>
<td>300</td>
</tr>
</tbody>
</table>
제목 | 작성자 | 조회수 |
---|---|---|
title1 | Kim | 100 |
title2 | Lee | 200 |
title3 | Park | 300 |
보다 완성도 높은 테이블 예시.
페이지 소스 보기
이렇게 웹 페이지의 소스코드를 볼 수 있다.
'FE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7-23 HTML_8 (0) | 2022.07.27 |
---|---|
2022-07-19 HTML_7 (0) | 2022.07.20 |
2022-07-16 HTML_5 (0) | 2022.07.17 |
2022-03-04 HTML_4 (0) | 2022.03.04 |
2022-03-02 HTML_3 (HTML 문서의 구성) (0) | 2022.03.04 |